HARDWARE | PreSonus Eris E4.5 스피커 수리기 - 1

오늘은 PreSonus Eris E4.5 스피커 수리 입니다. 증상으로는 전원 버튼을 켜도 아무 반응이 없는 친구 되겠습니다.

* PreSonus Eris E4.5


두 개의 유닛으로 된 스피커 입니다. 꽤나 가성비가 좋다고 하지만, 고열로 인한 내부 부품 고장이 자주 일어난다고 합니다. 아마 이 기기도 열처리 미흡으로 인한 고장이라고 의심해 봅니다.




1. Disassembly

메인 유닛 뒷면 입니다.


가장자리에 자리하고 있는 나사를 모두 제거하면 안의 보드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흡음 스폰지 처리가 안쪽에 되어 있으며, 그 안에 여러 부품들이 들어 있습니다. 음을 처리하는 기기라서 진동 및 주파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열이 배출되는 곳이 없어, 열을 어떻게 억제할 것인지가 제품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될 듯 합니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기 위해 뉘여 봤습니다.


Capacitor 위주로 확인해 봤으나, 특별히 문제가 될 부분은 없어 보입니다.


나무로 된 shell 에서 PCB 보드를 분리하기 위해, 연결된 커넥터를 제거합니다.


다시 조립시에 확인을 위해 여러 각도에서 사진으로 남깁니다.


스피커 유닛의 + / - 단자 위치도 사진으로 남깁니다.




2. Inspection

맨 먼저, 전원쪽 fuse 를 확인해 봅니다. 이상 없네요.


일단, 전원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transformer 를 확인 합니다.


Transformer 입력 쪽은 전압이 걸려 있습니다.


출력쪽 저항이 매우 낮습니다. 이는 거의 Closed Circuit, 즉 연결이 중간에 끊어진 상태라고 의심해 봅니다.




3. Thermal Fuse

동일 증상에 대해 Youtube 에서 찾았습니다. 역시 문제는 transformer 안에 들어 있는 thermal fuse 가 끊어져서 생기는 문제로 확인 됩니다. 다만, transformer 를 안전하게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습니다.

* Fix presonus eris e5 , no power issue . No blue light . Fixing internal fuse fix

우선 transformer 를 고정된 뒷판에서 분리해야 합니다.


너트가 고정된 부분에 미세한 진동으로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고무를 녹여 고정되어 있습니다.


열풍기로 살살 지지면서 너트를 고정하고, 뒷판 뒤쪽에서 드라이버로 풀었습니다. 두개의 손으로는 불가능하여 가족의 힘을 잠시 빌렸습니다.


어찌 저찌 하여 분리 완료.


Transformer 내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하우징 철판을 분리해야 합니다. 아래쪽 고정 판을 펴서 분리해 줍니다. 미세 진동에 움직이지 않도록 액체가 발라져 있던 것이 굳어 있습니다. 좋은 방법인 듯 합니다. 다만, 이 제조법에 사용된 액체가 궁금하지만 검색해도 찾을 수가 없네요. 이런 미세 진동을 억제하는 액체는 차차 찾아 보겠습니다.


옆면을 망치로 친 흔적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의아해 했지만, 조립 과정에서 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조립을 한 다음, 지속적인 장력을 가지고 빡빡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기 위에 일부러 망치로 두들겨, 휘어지도록 하였습니다. 다시 조립할 때에는 이 장력을 이기면서 고정해야 하므로 매우 힘이 들어갔습니다. 좋은 방법이긴 한데, 망치로 두둘겨야 하므로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미래의 고장 원인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무식하긴 하지만 스마트한 방법은 아닌것 같습니다.


겉을 싸고 있는 비닐 커버를 살짝 벗겨 냅니다.


그 안에 전선을 감싸고 있는 비닐 두루마리가 나옵니다.


전체를 분리할 수 없으니, 커터로 한땀 한땀 잘라 가면서 껍질 벗기듯 벗겨 나갑니다.


중간 중간에 전자기 차폐를 위한 테이프도 들어 있습니다. 어디 도망가지 않도록 작은 테이프로 고정 해주면서 작업을 이어 갑니다.


몇 겹을 파고 드니, 문제라고 생각되는 thermal fuse 가 보입니다.


잡았다 요놈!


재미있는 것이, thermal fuse 이지만 납땜이 되어 있습니다. 130도 이상 온도가 올라가면 끊어지게 되어 있는데, 납땜은 기본 300도 정도 됩니다. 이게 맞나?




4. Replacement

동일한 spec. 의 thermal fuse 를 AliExpress 에서 구입 합니다. 130도 / 2A / 250V 입니다.

* 10pcs/LOT L33 Thermal Fuse Cutoff TF 130C 130 Degree 2A 250V Square Link Temperature Switch


잘 도착 하였습니다.


저번 믹서기 수리에서 동일하게 thermal fuse 를 교체하여 고쳤는데, 이번에도 동일하게 thermal fuse 교체로 수리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thermal fuse 의 모양은 다르네요.

* REPAIR | Philips HR2096 믹서기 수리


높은 전류와 전압이 걸리므로, 리드 전선이 굵은 것이 좋습니다. 교체품과 기존품을 측정해 봅니다. 우선 교체품을 측정해 보니 0.54mm 입니다.


기존품도 동일하게 0.54mm 입니다. 안심 입니다.


전선과 연결시, 클램프를 가지고 찝어야 하는데, 저도 동일하게 납땜 합니다. 다만, 순간적으로 납땜을 하기 위해 플럭스를 바르고, 짧은 순간에 땜을 진행 했습니다. 납땜 후, 통전 시험을 하니 thermal fuse 는 이상 없었습니다. 향후, 비슷한 작업을 위해 클램프 관련 tool 을 구비해 놔야 겠네요.


겹겹으로 싸여있던 테이프를 보강하고 마무리 합니다. 그리고 진동에 의한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실리콘으로 덧칠해 줍니다.


이 정도면 나쁘지 않은 듯.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진행 했습니다. 수리 성공하여 전원은 들어오고, 음악도 잘 나옵니다. 다만, 스위치 ON/OFF 할 때, 스피커 터지는 소리가 납니다. 그리고 단순히 전원을 켜 놓기만 해도 뒷판이 너무 뜨겁습니다. 전체적인 점검을 다시 진행해야 하겠네요. 2편으로 이어집니다.


FIN

댓글